반응형
포커싱 실전, 겁먹지 말고 차근차근
무대조명의 포커싱은 결국 “빛을 어디에, 얼마나, 어떤 느낌으로 보낼지”를 정하는 과정이에요.
오늘 글은 아주 기초적인 교육용으로, 초보 스태프가 현장에서 바로 따라 할 수 있게 빔샤프(선명·부드러움), 각도 설정, 거리에 따른 조절을 순서대로 정리했어요. 안전수칙과 팀 커뮤니케이션, 장비별 손대는 포인트, 체크리스트까지 한 번에 담았으니, 첫 포커싱 날에도 당황하지 않도록 천천히 읽어보세요.
포커싱(초점 맞추기)이란?
포커싱은 켜진 조명기의 빛을 목표 지점에 정확히 보내고, 크기·선명도·밝기·각도를 결정하는 작업입니다. 말 그대로 렌즈와 게이트(반도어)를 이용해 빛의 경계를 다듬고, 필요하면 색 필터나 고보(무늬)를 넣어 표현을 바꾸죠.
기초 포커싱의 4단계는 보통 이래요.
① 위치 맞추기(목표 지점 표시) → ② 크기 조절(줌/스폿-플러드) → ③ 샤프/소프트 조절(경계 선명도) → ④ 각도·밝기 미세 조정(그림자·眩광·무대미학 확인). 이 네 가지만 익히면 초보도 무대 위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어요.
기초 포커싱의 4단계는 보통 이래요.
① 위치 맞추기(목표 지점 표시) → ② 크기 조절(줌/스폿-플러드) → ③ 샤프/소프트 조절(경계 선명도) → ④ 각도·밝기 미세 조정(그림자·眩광·무대미학 확인). 이 네 가지만 익히면 초보도 무대 위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어요.
안전·호흡 먼저 맞추기
포커싱은 대부분 하이포지션(FOH), 트러스, 갤러리에서 진행돼요. 그래서 추락·화상·감전을 항상 염두에 둬야 합니다.
• PPE : 안전모, 안전화, 하네스(고소), 장갑.
• 열 : 램프가 뜨거울 때 앞코(렌즈·반도)를 맨손으로 잡지 않기. 냉각 대기, 장갑 필수.
• 통신 : “이동–스톱” 같이 짧고 명료한 말 사용.
• 무대 위에 배우·스태프가 있으면 눈부심을 피하고, 미리 “살짝 눈 감아 주세요”라고 안내.
• 케이블은 발목 걸림 주의. 포커싱 끝나면 반드시 정리·테이핑.
• PPE : 안전모, 안전화, 하네스(고소), 장갑.
• 열 : 램프가 뜨거울 때 앞코(렌즈·반도)를 맨손으로 잡지 않기. 냉각 대기, 장갑 필수.
• 통신 : “이동–스톱” 같이 짧고 명료한 말 사용.
• 무대 위에 배우·스태프가 있으면 눈부심을 피하고, 미리 “살짝 눈 감아 주세요”라고 안내.
• 케이블은 발목 걸림 주의. 포커싱 끝나면 반드시 정리·테이핑.
포커싱 준비물(기초)
• 멀티툴(드라이버) , 스패너
• 검정 테이프(빌드·마킹), 필기도구(컨넥터 마크)
• 젤 프레임, 고보(필요 시), 아이리스(프로파일용)
• 포커스 시트(채널·목표·각도·샤프 상태 기록)와 펜
• 무전기(오퍼레이터와 소통)
• 검정 테이프(빌드·마킹), 필기도구(컨넥터 마크)
• 젤 프레임, 고보(필요 시), 아이리스(프로파일용)
• 포커스 시트(채널·목표·각도·샤프 상태 기록)와 펜
• 무전기(오퍼레이터와 소통)
장비별 기본 조작 감각
• 프레넬(Fresnel): 앞렌즈가 링 모양. 스폿–플러드로 크기 조절, 경계가 부드러워 워시용으로 좋아요.
• 프로파일(엘립소이달/ERS): 게이트와 셔터 블레이드로 경계를 또렷하게 자를 수 있어요. 줌·포커스 링으로 크기·샤프 조절, 고보·아이리스 사용.
• 파(Par64): 광량이 세고 타원형 빔. 렌즈 종류(VNSP–WFL)에 따라 빔 폭이 달라요.
• 무빙라이트: 팬/틸트로 위치 조정, 줌·포커스·프로즌·프리즘 등은 채널로 세팅. 포커싱 때는 프리셋 저장을 습관화하세요.
• 프로파일(엘립소이달/ERS): 게이트와 셔터 블레이드로 경계를 또렷하게 자를 수 있어요. 줌·포커스 링으로 크기·샤프 조절, 고보·아이리스 사용.
• 파(Par64): 광량이 세고 타원형 빔. 렌즈 종류(VNSP–WFL)에 따라 빔 폭이 달라요.
• 무빙라이트: 팬/틸트로 위치 조정, 줌·포커스·프로즌·프리즘 등은 채널로 세팅. 포커싱 때는 프리셋 저장을 습관화하세요.
빔샤프(Sharp/Soft) 감각 익히기
샤프는 경계가 칼같이 선명한 상태, 소프트는 가장자리가 퍼지는 상태예요.
• 프로파일 : 포커스 링으로 고보의 상이 또렷하게 보이면 샤프. 링을 조금 빼면 소프트.
• 프레넬 : 구조상 완전 샤프는 어렵고, 반도어로 부드러운 컷을 만듭니다.
• 언제 샤프/소프트? 배우 손동작·소품 강조에는 샤프, 피부결을 부드럽게 혹은 자연스러운 워시에는 소프트.
• 실습 팁: 바닥의 종이(B4~A3)에 원을 그려 놓고, 그 경계에 빔을 맞춰 샤프→소프트를 천천히 왕복해 보세요. 눈이 금방 익어요.
• 프로파일 : 포커스 링으로 고보의 상이 또렷하게 보이면 샤프. 링을 조금 빼면 소프트.
• 프레넬 : 구조상 완전 샤프는 어렵고, 반도어로 부드러운 컷을 만듭니다.
• 언제 샤프/소프트? 배우 손동작·소품 강조에는 샤프, 피부결을 부드럽게 혹은 자연스러운 워시에는 소프트.
• 실습 팁: 바닥의 종이(B4~A3)에 원을 그려 놓고, 그 경계에 빔을 맞춰 샤프→소프트를 천천히 왕복해 보세요. 눈이 금방 익어요.
각도 설정 – 얼굴이 예쁘게 보이는 각
45도 규칙이 초보에게 가장 쉬워요. 배우 얼굴 정면에서 위로 약 30~45도, 좌우에서 30~45도의 두 대로 기본 페이스 라이트를 구성하면, 코·턱 그림자가 자연스럽고 입체감이 살아납니다.
• 탑라이트(정수리) : 분위기는 좋지만 다크아이(눈 밑 그림자) 주의. 보조로 사용.
• 사이드 라이트 : 몸선 강조. 춤·무용에서 필수.
• 백라이트 : 윤곽·헤어라인을 띄워 공간 분리. 과하면 실루엣만 남아요.
• 업라이트(바닥) : 공포·비현실감 연출. 과유불급!
• 탑라이트(정수리) : 분위기는 좋지만 다크아이(눈 밑 그림자) 주의. 보조로 사용.
• 사이드 라이트 : 몸선 강조. 춤·무용에서 필수.
• 백라이트 : 윤곽·헤어라인을 띄워 공간 분리. 과하면 실루엣만 남아요.
• 업라이트(바닥) : 공포·비현실감 연출. 과유불급!
거리와 밝기 – 역제곱 법칙을 쉬운 말로
빛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해서 약해져요. 즉 2m→4m가 되면 밝기는 1/4 수준. 그래서 같은 레벨이어도 가까운 조명이 훨씬 밝게 느껴집니다.
• 빔 지름 계산(대략) : 빔지름 ≈ 2 × 거리 × tan(빔각/2)
예) 빔각 20°, 거리 10m면 지름은 약 3.6m.
• 현장 요령 : 같은 배우를 다른 지점에서 비출 때, 먼 조명은 디머를 더 올리거나 줌을 좁혀 광도를 집중.
• 밝기 균형 : “같은 시퀀스에서 얼굴만 튄다/죽는다” 싶으면 거리·빔폭·레벨을 동시에 점검하세요.
• 빔 지름 계산(대략) : 빔지름 ≈ 2 × 거리 × tan(빔각/2)
예) 빔각 20°, 거리 10m면 지름은 약 3.6m.
• 현장 요령 : 같은 배우를 다른 지점에서 비출 때, 먼 조명은 디머를 더 올리거나 줌을 좁혀 광도를 집중.
• 밝기 균형 : “같은 시퀀스에서 얼굴만 튄다/죽는다” 싶으면 거리·빔폭·레벨을 동시에 점검하세요.
현장에서 그대로 쓰는 포커싱 절차
1) 채널 호출 : 오퍼가 “채널 1, 풀(또는 70%)” → 포커서 “감사!” 또는 "OK"
2) 위치 : 바닥 마크·사람 스탠바이로 얼굴·소품·스팟에 정확히 맞춤. (팬·틸트/팬닝·틸팅)
3) 크기 : 줌 링(또는 스폿–플러드)으로 원·타원의 지름 조절.
4) 샤프 : 경계가 너무 딱딱하면 반 뼘 소프트. 고보는 우선 샤프로 맞춘 뒤 필요한 만큼만 풀러서 맞춤.
5) 컷팅 : 셔터(프로파일)나 반도어로 벽·관객석·천장 누출되는 빛 컷. 라인 수평·수직 체크.
6) 밝기 : 주변과 비교해 떠 있으면 -10~-20% 내리고, 죽으면 +10% 올려 균형.
7) 기록 : 포커스 시트에 채널·목표·각도(대략)·샤프 상태·레벨 기록. 무빙은 프리셋 저장.
2) 위치 : 바닥 마크·사람 스탠바이로 얼굴·소품·스팟에 정확히 맞춤. (팬·틸트/팬닝·틸팅)
3) 크기 : 줌 링(또는 스폿–플러드)으로 원·타원의 지름 조절.
4) 샤프 : 경계가 너무 딱딱하면 반 뼘 소프트. 고보는 우선 샤프로 맞춘 뒤 필요한 만큼만 풀러서 맞춤.
5) 컷팅 : 셔터(프로파일)나 반도어로 벽·관객석·천장 누출되는 빛 컷. 라인 수평·수직 체크.
6) 밝기 : 주변과 비교해 떠 있으면 -10~-20% 내리고, 죽으면 +10% 올려 균형.
7) 기록 : 포커스 시트에 채널·목표·각도(대략)·샤프 상태·레벨 기록. 무빙은 프리셋 저장.
무대 위치 용어 – 한 번에 통일
• 업스테이지(US): 객석에서 멀어지는 뒤쪽.
• 다운스테이지(DS): 객석과 가까운 앞쪽.
• 스테이지 레프트(SL): 배우 기준 왼쪽(객석에서 보면 오른쪽).
• 스테이지 라이트(SR): 배우 기준 오른쪽(객석에서 보면 왼쪽).
• 센터(C): 무대 중앙.
포커싱 지시를 “DSR 1m로 내려주세요”처럼 간결하게 말하면 작업 속도가 확 줄어요.
• 다운스테이지(DS): 객석과 가까운 앞쪽.
• 스테이지 레프트(SL): 배우 기준 왼쪽(객석에서 보면 오른쪽).
• 스테이지 라이트(SR): 배우 기준 오른쪽(객석에서 보면 왼쪽).
• 센터(C): 무대 중앙.
포커싱 지시를 “DSR 1m로 내려주세요”처럼 간결하게 말하면 작업 속도가 확 줄어요.
색·색온도 – 초보는 이것만
• 웜 화이트(3000K 부근): 피부가 따뜻하게, 드라마틱한 무드.
• 쿨 화이트(5600K 부근): 선명·현대적.
• 색 필터: CTO/CTB로 색온도 조절, 스트로/라벤더/스카이블루 등으로 분위기 배합.
팁: 초보는 페이스는 웜 톤으로 기본, 백·사이드로 쿨 톤 살짝 섞으면 입체감이 쉬워요.
• 쿨 화이트(5600K 부근): 선명·현대적.
• 색 필터: CTO/CTB로 색온도 조절, 스트로/라벤더/스카이블루 등으로 분위기 배합.
팁: 초보는 페이스는 웜 톤으로 기본, 백·사이드로 쿨 톤 살짝 섞으면 입체감이 쉬워요.
초보가 자주 하는 실수 10가지와 교정
1. 배우 눈부심 방치 → 각도를 5~10도 위로, 레벨 -10%.
2. 바닥 핫스팟 → 줌 살짝 열고 소프트 처리.
3. 배경 벽 타격 → 셔터/반도어로 컷, 각도 재조정.
4. 좌우 밝기 불균형 → 거리·빔폭·레벨 세 가지를 함께 체크.
5. 얼굴이 납작하면 → 사이드라이트 / 백라이트 추가.
6. 컬러 과다 → 페이스는 무채 / 웜 유지, 포인트만 컬러.
7. 고보만 믿음 → 고보는 양념, 기본 워시·얼굴 먼저.
8. 케이블 정리 미흡 → 포커싱 끝나면 즉시 테이핑·정리.
9. 기록 누락 → 다음 회차 때 지옥 맛… 반드시 시트에 기록!
10. 안전 불감 → 뜨거운 앞코 맨손 금지, 고소 작업 하네스 필수.
2. 바닥 핫스팟 → 줌 살짝 열고 소프트 처리.
3. 배경 벽 타격 → 셔터/반도어로 컷, 각도 재조정.
4. 좌우 밝기 불균형 → 거리·빔폭·레벨 세 가지를 함께 체크.
5. 얼굴이 납작하면 → 사이드라이트 / 백라이트 추가.
6. 컬러 과다 → 페이스는 무채 / 웜 유지, 포인트만 컬러.
7. 고보만 믿음 → 고보는 양념, 기본 워시·얼굴 먼저.
8. 케이블 정리 미흡 → 포커싱 끝나면 즉시 테이핑·정리.
9. 기록 누락 → 다음 회차 때 지옥 맛… 반드시 시트에 기록!
10. 안전 불감 → 뜨거운 앞코 맨손 금지, 고소 작업 하네스 필수.
현장에서 쓰는 말, 이렇게 해요
• 디자이너 : “채널 12번 70%” → 포커서: “확인!”
• 포커서 : “조금 다운했습니다… 확인요!”
• 디자이너 : “줌 좁힐게요…”
• 포커서: “셔터 상단 2cm 더 내렸습니다...확인요.”
• 마감: “채널 12 레벨 저장, 포커스 시트 체크 완료.”
이렇게 짧고 수치화된 말을 쓰면 서로 바로 이해합니다.
• 포커서 : “조금 다운했습니다… 확인요!”
• 디자이너 : “줌 좁힐게요…”
• 포커서: “셔터 상단 2cm 더 내렸습니다...확인요.”
• 마감: “채널 12 레벨 저장, 포커스 시트 체크 완료.”
이렇게 짧고 수치화된 말을 쓰면 서로 바로 이해합니다.
거리에 따른 조절 – 간단 예시
• FOH 12m에서 배우 얼굴: 프로파일 19°/26° 사용, 빔 지름 3~5m 범위. 레벨 60~80% 근처.
• 사이드 4~6m: 프레넬 1k 또는 LED 워시, 플러드 60~70%, 소프트 경계로.
• 백 8m: 파/프로파일로 헤어라인만 하이라이트. 레벨은 페이스보다 10~20% 낮게 시작.
• 근거리 스팟(3~5m): 과다 밝기 주의. 줌 좁혀서 광량 집중하되 레벨 40~60%에서 비교 조정.
• 사이드 4~6m: 프레넬 1k 또는 LED 워시, 플러드 60~70%, 소프트 경계로.
• 백 8m: 파/프로파일로 헤어라인만 하이라이트. 레벨은 페이스보다 10~20% 낮게 시작.
• 근거리 스팟(3~5m): 과다 밝기 주의. 줌 좁혀서 광량 집중하되 레벨 40~60%에서 비교 조정.
실습: 바로 따라 하는 3가지
① 샤프/소프트 왕복 : 바닥 원형 타깃에 프로파일을 맞추고, 샤프↔소프트를 왕복하며 눈에 익히기.
② 45도 페이스 만들기 : 좌·우 FOH 2대로 얼굴 조명 만들고, 백라이트 1대로 윤곽 보정. 셋업 전후 사진 비교.
③ 거리 보정: 같은 배우를 3m·8m에서 각각 비춰 밝기 차이를 체감. 디머·줌으로 균형 맞추기.
② 45도 페이스 만들기 : 좌·우 FOH 2대로 얼굴 조명 만들고, 백라이트 1대로 윤곽 보정. 셋업 전후 사진 비교.
③ 거리 보정: 같은 배우를 3m·8m에서 각각 비춰 밝기 차이를 체감. 디머·줌으로 균형 맞추기.
포커스 시트 – 이렇게 적어요
채널(혹은 유니버스/주소) · 기종 · 위치(FOH SL 등) · 목표(“DSC 1.5m 원”) · 각도(대략) · 샤프(샤프/하프소프트 등) · 레벨(대략) · 색 · 특이사항(“고보: 브레이크업, 아이리스 20%”).
다음 회차에서 수정이 최소화되고, 다른 팀원이 들어와도 동일 퀄리티로 재현할 수 있어요.
다음 회차에서 수정이 최소화되고, 다른 팀원이 들어와도 동일 퀄리티로 재현할 수 있어요.
장면별 빠른 레시피(기초)
• 토크/콘서트 멘트 : 45도 페이스 2, 백 1, 바닥 워시 1. 레벨 균형으로 눈 피로 줄이기.
• 독백 : 프로파일로 타이트 스팟(샤프 70), 주변 워시 소프트 다운.
• 댄스 : 사이드 워시 다층, 백 하이라이트로 윤곽 강화, 페이스는 최소.
• 드라마틱 엔딩 : 백라이트를 서서히 올려 실루엣, 전면 워시는 소거.
• 독백 : 프로파일로 타이트 스팟(샤프 70), 주변 워시 소프트 다운.
• 댄스 : 사이드 워시 다층, 백 하이라이트로 윤곽 강화, 페이스는 최소.
• 드라마틱 엔딩 : 백라이트를 서서히 올려 실루엣, 전면 워시는 소거.
정리 습관이 퀄리티를 만든다
포커싱 이후 케이블 러닝을 다시 확인하고, 세이프티(와이어)·체결 상태를 점검하세요. 렌즈·고보는 먼지를 털고, 젤 프레임은 번호 라벨을 붙여 라벨별로 분리하여 다음 작업 때 바로 찾을 수 있게 해요. 포커스 시트는 사진과 함께 저장하면 최고예요.
마무리 – 오늘 배운 핵심만 챙기기
① 샤프/소프트로 경계를 컨트롤 → 인물 강조/완화가 결정돼요.
② 각도 45도는 실패 확률을 줄이는 기본값.
③ 거리=밝기는 역제곱! 멀어질수록 더 어두워져요. 줌·레벨로 보정.
④ 컷팅으로 누출을 막아 실내·객석 눈부심 제로.
⑤ 안전·기록은 모든 작업의 시작과 끝.
오늘 내용만 익혀도 무대가 눈에 띄게 단정해지고, 배우가 훨씬 돋보여요. 다음엔 씬별 포커싱 전략과 무빙 프리셋 루틴도 차근차근 익혀 보죠. 당신의 첫 포커싱, 충분히 잘하실 수 있어요!
② 각도 45도는 실패 확률을 줄이는 기본값.
③ 거리=밝기는 역제곱! 멀어질수록 더 어두워져요. 줌·레벨로 보정.
④ 컷팅으로 누출을 막아 실내·객석 눈부심 제로.
⑤ 안전·기록은 모든 작업의 시작과 끝.
오늘 내용만 익혀도 무대가 눈에 띄게 단정해지고, 배우가 훨씬 돋보여요. 다음엔 씬별 포커싱 전략과 무빙 프리셋 루틴도 차근차근 익혀 보죠. 당신의 첫 포커싱, 충분히 잘하실 수 있어요!
같이 보면 좋은 글
무대조명 포커스, 이것만 알면 끝
포커싱이란 무엇인가아주 쉽게 말하면, 조명이 비춰야 할 지점(포인트)을 정확히 겨냥해 밝기·크기·선명도를 맞추는 작업이에요. 배우 얼굴을 깔끔하게 살리고, 세트·소품을 또렷하게 보이게
333.healer1004.co.kr
DMX의 원리와 DMX512 어드레스 세팅 및 연결법 완전 정리
무대 위 찬란한 빛을 만들어내는 조명의 뒤편에는 보이지 않는 ‘언어’가 흐르고 있습니다. 바로 조명을 제어하는 통신 신호, DMX512입니다. 조명 기기를 처음 다루는 분이라면 “DMX가 뭐지?”
333.healer1004.co.kr
조명기기의 조합 실습 – 전통과 현대 장비의 조합 방식
✨ 조명기기의 조합 실습 – 전통과 현대 장비의 조합 방식무대 위, 우리는 때론 따뜻한 촛불 같은 빛을, 때론 차갑고 날카로운 빛을 원하죠. 그 감정과 분위기를 만드는 도구가 바로 ‘조명’입
333.healer1004.co.kr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