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무대조명 포커스, 이것만 알면 끝

by 무대조명 안내자 2025. 8. 20.
반응형

포커싱이란 무엇인가
아주 쉽게 말하면, 조명이 비춰야 할 지점(포인트)을 정확히 겨냥해 밝기·크기·선명도를 맞추는 작업이에요. 배우 얼굴을 깔끔하게 살리고, 세트·소품을 또렷하게 보이게 만들고, 그림자는 지저분하지 않게 정리하는 게 목표죠.

포커스 개념과 포인트 이해
현장에서 자주 쓰는 말을 정리해볼게요.
  • 포인트(Point) : 빛이 정확히 닿아야 하는 목표지점. 예) 배우 코끝, 테이블 중앙, 로고 상단.
  • 빔 각(Beam Angle) : 중심부가 밝은 영역의 대략적인 퍼짐 각도.
  • 필드 각(Field Angle) : 눈으로 보이는 빛의 전체 테두리 각. 무대에서 “스펠”(spill) 다루기에 중요.
  • 핫스팟(Hot Spot) : 중앙이 더 밝은 현상. 과하면 눈부심/색 씻김이 생김.
  • 하드/소프트 에지 : 가장자리 선명도. 그림자를 또렷/부드럽게 조절.
  • 컷(Cut) : 셔터/도어로 빛 가장자리를 잘라내는 것.

빔각과 필드각 설명 이미지

기종별로 이렇게 달라요
  • 프로파일(ERS/엘립소이달) : 셔터로 사각 컷이 가능, 줌/포커스 링으로 크기·선명도 조절, 고보/아이리스 사용.
  • 프레넬(Fresnel) : 줌(Spot↔Flood)으로 크기/부드러운 에지 조절, 바른도어로 대략적인 컷.
  • PAR : 간단·강한 빔. 렌즈 타입(VNSP/NSP/MFL/WFL)로 퍼짐 결정, 컷은 제한적.
  • 무빙헤드 : 팬/틸트로 포인트 이동, 포커스·줌·프리즘·프레이밍 셔터 등 기능 풍부. 프리셋 저장 필수.

현장 순서 10단계(교육자용)
  1. 안전 : 전원 차단 확인, 안전핀/세이프티 와이어, 사다리 스팟터 지정.
  2. 패치/채널 확인 : 어떤 조명이 몇 번 채널인지 먼저 체크(콘솔 라벨 필수).
  3. 러프인(Rough-in) : 대략 포인트로 향하게 팬/틸트만 잡아두기.
  4. 밝기 맞추기 : 동일 역할끼리 퍼센트 비슷하게(예: 얼굴용 70% 라인).
  5. 크기 : 줌/아이리스로 원 크기 조절(무릎~허리 선 기준 등).
  6. 선명도 : 하드/소프트 에지를 대본 의도에 맞게(리얼리즘=부드럽게, 그래픽=하드하게).
  7. : 셔터/바른도어로 스펠 정리(무대 바닥·객석 벗어나지 않게).
  8. 색/확산 : 젤/컬러휠·프로스트로 피부톤/분위기 맞춤.
  9. 겹침/그림자 : 두 조명이 겹칠 때 핫스팟 과다·이중 그림자 점검.
  10. 기록 : 콘솔 프리셋/큐 저장, 포커스 노트(리허설 라인, 포인트 좌표) 남기기.
포인트를 어디에 둘까?
  • 얼굴 : 코끝/볼 라인 기준으로 눈빛이 살아나게. 눈 위 하이라이트 과다 주의.
  • 대사 중심 : 말하는 배우에게 키라이트 1, 보조 0.5, 백라이트 0.3처럼 비율을 단순화.
  • 세트·소품 : 로고/화병/책상 중앙 등 목표 점을 미리 표시(테이프 작은 점).
  • 동선 : 마킹 테이프에 “포커스 존”을 표시해 이동해도 얼굴이 벗어나지 않게.

자주 나오는 실수, 이렇게 잡자
  • 핫스팟 과다 : 디머 100% 고정 금지. 70~85% 라인에서 시작해 눈으로 균형 보기.
  • 이중 그림자 : 각도/높이를 다르게 해서 그림자 겹침 줄이기.
  • 빛샘(스펠) : 셔터/반도어로 배경·객석 넘어가는 빛 컷.
  • 에지 과도 하드 : 피부결 강조되어 거칠어 보임 → 살짝 소프트로 돌리기.
  • 색 불일치 : 같은 역할 조명끼리 같은 젤·컬러온도 사용.
교육자용 15분 실습 루틴
  1. 프로파일 2대, 프레넬 1대 준비. 모델 1명(의자).
  2. 각 조명의 역할 지정(키/필/백라이트).
  3. 러프인 → 크기 → 에지 → 컷 순서로 정돈.
  4. 핫스팟/그림자/스펠 체크 → 조정.
  5. 큐 저장(프리셋) 후, 모델 이동 시 유지되는지 재확인.
밝기 감 잡는 초간단 법칙
빛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해요(역제곱법칙). 거리를 2배로 늘리면 밝기는 1/4로 줄어요. 그래서 멀면 디머를 올리거나 더 좁은 빔/큰 출력이 필요합니다. 현장에서는 눈+간이 럭스미터 앱으로 균형만 맞춰도 충분해요.
포커스 전·후 체크리스트
  • 안전핀/전원/채널 라벨 OK?
  • 포인트 정확? 크기/에지/컷 정리?
  • 얼굴 톤 균형? 핫스팟/그림자 과다 없음?
  • 색상 일치? 스펠 누수 없음?
  • 콘솔 프리셋/큐 저장 완료
무대를 밝히는 이웃님들께

지금까지 잘 따라온 것만으로도 대단해요. 처음 듣는 단어와 낯선 표현 때문에 머리가 지끈할 수도 있지만, 자꾸 접하다 보면 어느새 익숙해져 있을 거예요. 중요한 건 의지를 놓지 않는 거예요. 끝까지 차근차근 해낸다면 무대 위 빛처럼 당신의 노력도 반짝일 거예요.

 

같이 보면 좋은 글

 

 

전통 조명기기 이해-PAR, Fresnel, ERS의 구조와 특징

무대조명 하면 요즘은 LED나 무빙라이트가 먼저 떠오르지만, 무대의 기본을 가장 충실히 지탱해온 건 바로 전통 조명기기들이에요. 그중에서도 PAR, Fresnel(프레넬), ERS(Ellipsoidal Reflector Spotlight)는

333.healer1004.co.kr

 

 

조명기기의 조합 실습 – 전통과 현대 장비의 조합 방식

✨ 조명기기의 조합 실습 – 전통과 현대 장비의 조합 방식무대 위, 우리는 때론 따뜻한 촛불 같은 빛을, 때론 차갑고 날카로운 빛을 원하죠. 그 감정과 분위기를 만드는 도구가 바로 ‘조명’입

333.healer1004.co.kr

 

 

무대조명 콘솔의 세계 – 기초부터 이해하기

무대조명을 처음 배우는 분들께 가장 낯설면서도 중요한 장비가 바로 콘솔(조명 조정기)입니다.조명 콘솔은 단순히 스위치를 켜는 기계가 아니라,무대 위 빛의 리듬과 감정을 만들어내는 '조명

333.healer1004.co.kr

 

반응형